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통합사회32

통합사회 생각 노트 정답지(Ⅲ-3. 우리 지역의 변화와 발전) 03. 우리 지역의 변화와 발전 (1) 도시와 촌락에서 발생하는 문제점과 해결방안 ① 도시에서 발생하는 문제점과 해결방안 대도시 문제점 인구 과밀화로 인한 각종 기반 시설 부족, 도시 내 노후 공간 증가로 인한 주민의 삶의 질 저하 해결방안 도시 내 기반 시설 확충, 재개발을 통한 주거 환경 개선 등 중소 도시 문제점 일자리 · 문화 공간 등의 부족, 대도시로의 인구 유출 등 해결방안 지역 특성화 사업 추진, 자족 기능 확충 ➁ 촌락에서 발생하는 문제점과 해결방안 근교 촌락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전통적인 가치관, 문화가 사라짐 원교 촌락 - 노동력 부족, 유휴 경작지 증가, 성비 불균형(남초)으로 인한 결혼 문제 등 발생 - 교육 및 의료, 문화생활 여건 약화로 인한 인구 유출 가속화 - 해결 방안 : 지.. 2023. 9. 26.
[통합사회] Ⅶ. 문화와 다양성 - 1) 유럽 문화권 [통합사회] Ⅶ. 문화와 다양성 - 1. 다양한 문화권의 특징과 삶의 방식 - 1) 유럽 문화권 유럽 문화권은 크게 남부 유럽, 북서 유럽, 동부 유럽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러시아는 유럽에 속할까, 아시아에 속할까? 그리스로마 신화에 포도주의 신, 디오니소스가 등장할 만큼 남부 유럽 포도의 맛이 좋았던 이유는? 동부 유럽이 다른 유럽 문화 지역보다 경제 발전 수준이 낮은 이유는? 위 질문에 답하기 위해 공부해볼까요? 지리가 느껴지리! https://www.youtube.com/watch?v=O3VdlO5ifls 2023. 9. 20.
통합사회 생각 노트 정답지(2023학년도 1학기 2차 지필평가 범위) ② 01. 산업화·도시화에 따른 변화와 문제점 (1) 산업화 · 도시화에 따른 생활공간과 생활양식의 변화 ➀ 거주 공간의 변화 - 고층 건물, 아파트의 등장 → 토지의 집약도 상승, 주거 · 업무 · 상업 · 교육 · 여가 등을 위한 다양한 공간 형성 ➁ 생활환경의 변화 - 도시 내 하천의 인위적 개발, 지표의 포장 면적 확대로 인한 불투수 면적 증가 , 녹지 면적 감소 , 생물 종 다양성 감소 ➂ 생활양식의 변화 - 도시성 확산 : 도시화 과정을 통해 주변 교외 및 촌락으로 확산, 사회적 유대감 약화 - 직업 분화 촉진 : 2·3차 산업 발달 → 직업 분화, 전문성 증가 → 직업 다양화 - 개인주의적 가치관 확산 (2) 산업화 · 도시화에 따른 문제점과 해결방안 ➀ 문제점 주택 인구 밀집, 주택 수요 증가.. 2023. 6. 26.
통합사회 생각 노트 정답지(2023학년도 1학기 2차 지필평가 범위) ① 3.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한 방안 01.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한 정부, 시민, 사회, 기업의 노력 - 개인이나 개별 국가의 노력만으로는 해결하기 어려움 -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적 동참 필요 ➀ 정부 - 탄소 배출권 거래제 참여, 적정한 환경 기준에 대한 법률적 · 제도적 정비, 친환경 산업 육성, 환경 영향 평가, 다양한 국제 협약 체결(리우 환경 협약, 교토 의정서, 파리 기후 협약) * 탄소배출권 거래제 : 정부에서 기업에게 온실가스 배출 허용량을 정해주고 기업에서 그 범위 내에서 온실가스 감축을 하되, 남거나 부족한 배출권의 기업 간 거래를 허용하는 제도 * 리우 환경 협약 : 지구 온난화를 규제하고 방지하기 위해 1992년에 맺은 협약 * 교토의정서 : 국가별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을 다르게.. 2023. 6. 26.
[통합사회] Ⅱ-2-2. 인간과 자연의 관계(🌏 환경 결정론 & 가능론 & 생태학적 관점) 자연과 인간을 바라보는 방법 중, 지리학에서 제시하는 환경 결정론과 가능론, 그리고 생태학적 관점을 살펴보도록 해요. ♥ 주파수 확인 ♥ Q. 환경 결정론의 관점에서 환경이 인간에게 영향을 준 생활 모습을 예로 들어보시오. Ⅱ. 자연환경과 인간 2. 인간과 자연의 관계 환경 결정론 & 가능론 & 생태학적 관점 2023. 5. 2.
[통합사회] Ⅱ-2-1. 인간과 자연의 관계(인간 중심주의 vs ☘ 생태 중심주의) 자연과 인간을 바라보는 방법 중, 윤리학에서 제시하는 인간 중심주의와 생태 중심주의를 살펴보도록 해요. ♥ 주파수 확인 ♥ Q. 인간 중심주의에서는 자연의 가치를 어떤 기준을 통해 평가하나요? Ⅱ. 자연환경과 인간 2. 인간과 자연의 관계 인간 중심주의 vs 생태 중심주의 2023. 5. 2.
[통합사회] Ⅱ-1-4. 안전하고 쾌적하게 살아갈 시민의 권리 🌏 지구 온난화로 인해 자유의 여신상이 잠긴다고? 기후 및 지형을 학습하면서 자연환경은 인간에게 큰 선물임을 알게 됐죠? 그러나 자연환경은 인간에게 해를 가하기도 합니다. 바로 "자연재해"를 살펴보도록 합시다. ♥ 주파수 체크 ♥ Q. 자연재해를 나누는 기준으로, 자연환경의 구성 요소인 이 두 가지는 무엇일까요? Ⅱ. 자연환경과 인간 1. 자연환경과 인간 생활 02. 안전하고 쾌적하게 살아갈 시민의 권리 2023. 5. 2.
[통합사회] Ⅱ-1-3. 인간의 자연환경 극복과 이용 🛠 친구들, 안녕하세요. 그동안 기후와 지형 즉, 자연환경에 따라 인간들이 전통적으로 어떻게 살아왔는지 살펴보았습니다. 그러나 과학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인간이 자연환경을 극복하고, 자연에 산재한 자원을 이용하기 시작하였는데요. 오늘은 이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해요. ♥ 주파수 체크 ♥ Q. 인간이 산지 지형을 극복하여 물 자원을 확보하고, 전력을 생산하는 시설은 무엇일까요? Ⅱ. 자연환경과 인간 1. 자연환경과 인간 생활 3) 인간의 자연환경 극 2023. 5. 2.
[통합사회] Ⅱ-1-2. 지형과 인간 생활 🌇 송도국제도시는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친구들, 안녕하세요. 기후를 마무리하고, 자연환경 두 번째 파트인 '지형'으로 들어가보겠습니다. 지형은 산지, 평야, 해안 지형으로 나눠볼 수 있는데요. 각 지형에서 인간들이 어떻게 살아왔는지 전통적인 생활방식을 살펴보도록 해요. ♥ 주파수 체크 ♥ Q. 오늘 배운 세 가지 지형 중, 대개 인구가 밀집한 지형은 어느 지형일까요? Ⅱ. 자연환경과 인간 1. 자연환경과 인간 생활 2) 지형과 인간 생활 2023. 5. 2.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