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학급 담임/진로 수업5

[서울대] 대학생 진로 탐색 과정 - "이곳에 오기까지" 서울대학교 입학처 아로리에서 운영하는 "내가 이곳에 오기까지" 코너입니다.각 학과 재학생들이 학과를 선택하기까지의 스토리를 담은 영상이 수록되어 있어, 학생들이 참고하기 좋습니다. https://snuarori.snu.ac.kr/renew/admission_guide/seoul_national_univ_new.php?acode=&bcode= 아로리 - 서울대학교 입학본부 snuarori.snu.ac.kr 2025. 4. 15.
영상을 활용한 진로 대리 학습 활동지 '영상을 활용한 진로 대리 학습' 활동지입니다.중학교 및 고등학교 학생들이 자신의 진로를 탐색하고 고민하는 데 큰 도움이 될 수 있는 진로 활동지입니다. 이 활동지는 학생들이 다양한 직로 분야와 관련된 영상을 시청한 후, 그에 대한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정리하며 미래의 꿈을 구체화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 관련 영상은 블로그 "수업 자료" 카테고리를 참조하세요. 활동지의 구성과 활용 방법 이 활동지는 크게 두 가지 단계로 나뉘어 있습니다.1. 영상 시청 전  학생들은 자신이 관심 있는 직업에 대해 미리 생각해보고, 그 직업에 대한 초기 인상이나 기대를 표에 간단히 기록합니다. 이는 학생들이 영상을 보기 전 자신의 관점을 스스로 점검해보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2. 영상 시청 후  영상을 본 뒤, 학.. 2025. 3. 12.
미래 사회 탐구 - 4차 산업혁명과 기후변화, 다문화사회 진로활동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미래 사회 탐구 - 4차 산업혁명과 기후변화, 다문화사회" 활동입니다.본 프로그램은 현대 주요 쟁점인 3가지 키워드 '4차 산업혁명', '기후변화', '다문화사회'를 탐구하고, 이를 기반으로 자신의 진로를 탐색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학생들은 이 과정에서 글로벌 이슈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이를 본인의 진로와 연결 지을 수 있습니다.  아래는 프로그램의 주요 내용입니다.1. 미래 사회 키워드 탐구 2. 미래 주요 기술 및 역량 3. 진로를 위한 상상력 펼치기 4. 미래 가상의 일기 작성하기 1. 미래 사회 키워드 탐구   아래 각 키워드와 연관된 영상을 시청하면서 해당 키워드의 정의와 배경, 이로 인한 공간과 주민 생활 모습의 변화를 작성하도록 합니다. (1) 제4차.. 2025. 3. 10.
사물과 직업 - 놓칠 뻔한 직업 조사 진로활동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사물과 직업 - 놓칠 뻔한 직업 조사" 활동입니다.본인의 흥미 혹은 진로·적성 분야의 관심 있는 사물을 선택하고, 해당 사물과 관련한 직업을 탐구합니다. 관련 직업이 하는 일을 면밀히 파악함으로써 본인의 희망 진로와 흥미 분야에 다양한 직업이 존재함을 발견하고, 그중에서 가장 흥미로운 직업을 선택하여 조사함으로써 다양한 직업을 탐구할 수 있습니다.   본 프로그램을 통해 직업에 관한 식견을 넓혀, 평소 관심을 두지 않았던 직업에 다가가봅시다♥ ★본 프로그램의 목표★- 직업 조사 : 우리 주변의 사물과 밀접하게 연관된 직업을 제안하고 조사할 수 있다. 본 프로그램은 총 네 가지 주요 활동으로 나뉘어 진행됩니다.1. '라면'이 우리 식탁에 오르는 과정과 관련한 직업 탐구하기.. 2025. 3. 10.
위인을 위한 대필 이력서 & 자기소개서 진로활동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위인을 위한 대필 이력서 & 자기소개서" 활동입니다.본인의 흥미 혹은 진로·적성 분야의 관심있는 위인을 선택하고, 해당 위인이 '이력서 & 자기소개서'를 작성한다면 어떻게 작성할까 유추하여 직접 작성합니다. 해당 위인에 대해 면밀히 파악함으로써 본인의 희망 진로와 흥미 분야에서 성공적인 업적을 달성하기 위해 계발해야 할 강점을 발견하고, 약점을 보완하는 방법을 고민하며 자기 이해를 도울 수 있습니다. ★본 프로그램의 목표★1. 롤모델 탐색 : 저명한 인물의 삶을 통해 대리 학습하면서 진로에 대한 영감을 얻습니다. 2. 진로 설계 수립 : 위인의 발자취와 구체적인 활동을 살펴보면서 진로 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합니다. 3. 자아 탐색 : 자신의 흥미, 능력, 가치를 발견.. 2025. 3. 5.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