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학급 담임/입시

2026학년도 대학 입시 기초 상식

by 지잉남 2025. 4. 11.
반응형

2026학년도 대학 입시에 관한 기초 내용에 관해 소개합니다.

 

1. 대입전형 4년 사전 예고제

대입전형의 주요 사항은 단계별로 발표 시기와 주체가 정해져 있습니다.

■출처: 대입정보포털(어디가) 사이트 https://www.adiga.kr/

 

대입 정책은 중학교 3학년 1학기 직전인 3월 말까지 교육부에서 발표합니다. 이는 4년 전에 해당합니다.
대입전형 기본사항은 고등학교 1학년 8월 말까지, 즉 2년 6개월 전에 대교협에서 발표합니다.
대입전형 시행계획(전형계획)은 고등학교 2학년 4월 말까지, 즉 1년 10개월 전에 각 대학에서 발표합니다.
수시모집 모집요강은 고등학교 3학년 4월 말까지, 즉 10개월 전에 발표되고, 정시모집 모집요강은 고등학교 3학년 8월 말까지, 즉 6개월 전에 발표됩니다.

 

2. 표준 대입전형 체계

대입전형은 수시와 정시로 나뉘며, 각 전형은 평가 요소에 따라 다음과 같은 유형이 있습니다.
수시 전형에는 여러 유형이 있습니다. 학생부 위주 전형 중 교과 중심 전형은 학생의 내신 성적, 즉 교과 성적을 중심으로 평가하는 전형입니다. 학생부 위주 전형 중 종합 전형은 교과뿐 아니라 비교과 활동까지 종합적으로 평가하며, 입학사정관이 참여해 서류나 면접 등을 통해 학생을 입체적으로 평가합니다. 논술 위주 전형은 대학별 논술 시험 결과를 바탕으로 선발합니다. 실기·실적 위주 전형은 예체능이나 특기 분야 등에서 실기 능력이나 대회 실적 등을 평가하여 선발합니다. 특기자 전형도 여기에 포함됩니다.
정시 전형에는 주로 수능 위주 전형과 실기·실적 위주 전형이 있습니다. 수능 위주 전형은 대학수학능력시험 성적을 바탕으로 선발합니다. 실기·실적 위주 전형은 수시와 마찬가지로 예체능이나 특기 분야를 중심으로 평가합니다.

 

3. 대학입시에서 알아야 할 필수 용어


용어 용어해설
기본용어 학생부
교과전형
학생부 교과성적을 중심으로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전형
학생부
종합전형
입학사정관 등이 참여하여 학생부를 중심으로 면접 등을 통해 학생을 정성적으로 종합평가하는 전형
논술위주전형 논술고사를 주된 전형요소로 반영하는 전형 유형
수능위주전형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주된 전형요소로 반영하는 전형 유형
실기위주전형 실기고사를 주된 전형요소로 반영하는 전형 유형
고른기회전형 교육기회의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해 실시하는 전형으로 농어촌 학생 등 법률상 보장되는 정원외 특별전형과 대학 독자적 기준에 따른 보상 및 배려 차원의 전형 내 특별전형(유사용어: 기회균등전형, 고른기회특별전형, 정원외 전형)
단계별전형 입학 전형 과정에서 여러 단계를 거쳐 합격자를 선발하는 전형 (유사용어_ 다단계전형, 단계별사정)
일괄합산전형 전형이 단계로 나누어지지 않고, 일괄적인 성적 처리를 통해 이루어지는 전형
모집단위 대학에서 학생을 모집하는 단위를 말함. 주로 학과 단위로 모집하며, 학부단위나 계열별로 통합하여 모집하는 경우도 있다
최초합격 지원한 입학전형에서 최초에 합격한 경우
충원합격 합격자가 등록하지 않아 결원이 생겼을 때 해당 대학의 예비합격자를 추가로 합격시키는 것
평가
용어
정량평가 객관적으로 수량화가 가능한 자료를 사용하는 평가 방법
정성평가 전형자료를 토대로 평가자가 그 의미를 찾고 해석하는 평가 방법
백분위 백분위는 영역/과목 내에서 개인의 상대적 서열을 나타내는 수치. , 해당 수험생의 백분위는 응시 학생 전체에 대한 그 학생보다 낮은 점수를 받은 학생 집단의 비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수치
표준점수 원점수에 해당하는 점수를 상대적인 서열로 나타내는 점수. , 표준점수는 영역 또는 선택과목별로 정해진 평균과 표준편차를 갖도록 변환한 분포 상에서 개인이 획득한 원점수가 어느 위치에 해당하는가를 나타내는 점수
변환표준점수 변환표준점수는 각 과목의 난이도와 표준편차를 고려해 산출되는 점수. 표준점수의 변별력을 높이기 위해 산출하는 점수로 대학에서는 주로 탐구영역의 성적을 반영할 때 사용하는 점수

 

4.  2026학년도 수시 정시 대입 주요 일정(현 고3)

1) 2026학년도 수시 정시 대입 주요 일정

구 분 일 정
수시 학생부 작성 기준일 2025. 8.29.()
정시 학생부 작성 기준일 2025.11.28.()
수시
모집
원서 접수 기간 2025. 9. 8.() ~ 12.() 3일 이상
전형 기간 2025. 9.13.() ~ 12.11.()(90)
합격자 발표 2025.12.12.()까지
등록 기간 2025.12.15.() ~ 17.()(3)
수시 미등록 충원 합격 통보 마감 2025.12.23.()(합격자 발표 18시까지)
수시 미등록 충원 등록 마감 2025.12.24.() 22시까지
수능일 2025. 11. 13.()
수능성적 통지 2025. 12. 5.()
정시
모집
원서 접수 기간 2025.12.29.() ~ 2025.12.31.() 3일 이상
전형 기간 가군: 2026. 1. 5.() ~ 12.()(8)
나군: 2026. 1.13.() ~ 20.()(8)
다군: 2026. 1.21.() ~ 28.()(8)
합격자 발표 2026. 2. 2.()까지
등록 기간 2026. 2. 3.() ~ 5.()(3)
정시 미등록 충원 합격 통보 마감 2026. 2.12.()(합격자 발표 18시까지)
정시 미등록 충원 등록 마감 2026. 2.13.() 22시까지
추가
모집
접수·전형·합격통보마감·등록 원서접수/전형/합격자 발표/등록: 2026. 2.20.() ~ 27.()
등록 마감 2026. 2.27.() 22시까지

 

. 2025학년도 전국연합학력평가 시행 일정

학년별 시행 일정 / 주관 교육청
1·2학년 3학년
3 26() 서울특별시교육청 26() 서울특별시교육청
4

5
8() 경기도교육청
6 3() 부산광역시교육청 3() 한국교육과정평가원
7
10() 인천광역시교육청
8

9 3() 인천광역시교육청 3()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0 14() 경기도교육청 14() 서울특별시교육청
횟수 학년별 4 6

 

5.  2026학년도 대입 전형 특징

1) 전체 모집인원 증가, 전년도 선발 기조 유지

(1) 전체 모집인원 증가

구분 2026학년도 2025학년도 2024학년도
인원 345,179 340,934 344,296

 

(2) 수시모집 인원 전년대비 증가

학년도 수시모집 정시모집 합계 전년 대비 증감
수시 정시 합계
2026 275,848
(79.9%)
69,331
(20.1%)
345,179
(100.0%)
4,367
(0.3%)
-122
(-0.3%)
4,234
2025 271,481
(79.6%)
69,453
(20.4%)
340,934
(100.0%)
-551
(0.6%p)
-2,811
(-0.6%p)
-3,362
2024 272,032
(79.0%)
72,264
(21.0%)
344,296
(100.0%)
-410
(1.0%p)
-4,418
(-1.0%p)
-4,828

 

3)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모집인원 및 비율 상이

권역 수시모집 정시모집 합계
정원내 정원외 합계 정원내 정원외 합계
수도권 76,678 10,775 87,453
(65.4%)
42,693 3,632 46,325
(34.6%)
133,778
비수도권 169,966 18,429 188,395
(89.1%)
22,611 395 23,008
(10.9%)
211,403
합계 246,644 29,204 275,848
(79.9%)
65,304 4,027 69,331
(20.1%)
345,179

 

2) 수시모집은 학생부 위주, 정시모집은 수능위주 선발

구분 전형유형 2026학년도 2025학년도 전년 대비
증감 인원()
모집인원() 비율(%) 모집인원() 비율(%)
수시 학생부교과 155,495 45.0 154,475 45.3 1,020
학생부종합 81,373 23.6 78,924 23.1 2,449
논술위주 12,559 3.6 11,266 3.3 1,293
실기/실적위주 21,865 6.3 22,531 6.6 -666
기타 4,556 1.3 4,285 1.3 271
정시 수능위주 63,902 18.5 63,827 18.7 75
실기/실적위주 4,726 1.4 5,224 1.5 -498
학생부교과 317 0.1 174 0.1 143
학생부종합 219 0.1 183 0.1 36
기타 167 0.0 45 0.0 122

▲시기별 전형별 모집인원 현황

 

출처: 쎈진학 대입자료+대입정보119

 

3) 사회통합전형과 지역인재전형의 모집인원 증가

권역 2026학년도 2025학년도 증감()
정원내() 정원외() 합계() 정원내() 정원외() 합계()
사회통합
(기회균형)
10,985 27,215 38,200 10,948 26,476 37,424 776
사회통합
(지역균형)
13,086 - 13,086 13,267 - 13,267 -181
합계 24,071 27,215 51,286 24,215 26,476 50,691 595

▲ 사회통합전형 인원 비교

 

구분 2026학년도 2025학년도 2024학년도 2023학년도
대학 수(개교) 102 104 103 93
모집인원() 26,778 24,031 23,816 21,235

연도별 지역인재 특별전형의 모집인원 변화

 

4) 학교폭력 조치사항 반영

  2025학년도부터는 147개 대학이 학교폭력에 대한 조치사항을 자율적으로 대입전형에 반영하기 시작했다. 이어서 2026학년도부터는 학생부위주전형, 논술전형, 실기·실적전형, 수능위주전형 등 모든 전형에서 학교폭력 조치사항 반영이 의무화된다. 단, 반영 여부는 의무지만, 구체적인 반영 방법과 적용 전형은 대학별로 자율적으로 정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대학별 기준을 꼼꼼히 확인할 필요가 있다.

 

 

▲ 2026학년도 서울 주요 대학의 학생부위주 교과전형 학교폭력과 관련한 조치사항

 0점 처리, 지원 불가, 추천대상 제외 등은 부적격에 포함하여 분류함.

※ 괄호 안의 숫자는 학교폭력 조치사항의 번호(예: 2호: 서면사과, 3호: 학교봉사, 4호: 사회봉사 등)를 의미합니다.
※ 대학별 반영 기준과 방식이 다르므로 반드시 해당 대학 모집요강을 확인해야 합니다.

 

6.  전형별 특징 및 준비 방향

1) 학생부 교과 전형

(1) 2026 대입 학생부 교과전형의 특징

  2026학년도 대입에서 학생부교과전형은 다음 세 가지 측면에서 변화가 두드러진다. 모집인원의 확대, 교과성적 반영 방식의 세분화, 수능최저학력기준의 조정이다. 먼저, 전년도보다 학생부교과전형을 통해 선발하는 인원이 증가했으며, 수도권과 비수도권 모두 확대되었지만, 특히 비수도권에서의 증가 폭이 더 크다. 각 대학은 교과 성적을 반영하는 과목이나 방식, 환산 기준 등을 자율적으로 설정하기 때문에 반드시 대학별 수시 모집요강을 통해 세부사항을 확인해야 한다. 수능최저학력기준은 전체적으로 완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일부 대학에서는 오히려 기준이 강화되거나 필수 반영 여부가 달라질 수 있어 꼼꼼한 확인이 요구된다.

 

(2) 지역균형전형

  수도권의 대부분 대학에서는 지역균형전형을 운영하고 있으며, 이는 대체로 학생부교과전형의 형태로 진행된다. 이 전형은 주로 교과 성적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지만, 일부 대학에서는 정성적 요소인 서류평가를 병행하기도 한다. 따라서 각 대학의 서류 평가 방식, 특징, 그리고 전년도 입시 결과를 기반으로 한 경쟁력 등을 고려한 준비가 필요하다. 특히 서류평가의 성격이 유사한 대학들을 파악하고, 이에 따라 전략적으로 지원하는 것이 중요하다. 학생부종합전형과는 차별화된 평가 요소를 갖고 있으므로, 이에 맞는 사전 준비가 요구된다. 또한 고교별 추천인원 제한이나 졸업 연도에 따른 자격 제한이 있는 대학도 있으므로, 대학별 세부 조건과 수능최저학력기준, 교과 반영 방식의 변화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유리한 지원 전략을 세워야 한다. 한편, 올해는 해당 전형의 모집인원이 작년보다 소폭 줄어들었다.

 

(3) 대학별 교과 반영방법의 다양화

  학생부교과전형에서 대학별로 교과 성적을 반영하는 기준과 방식은 다양하다. 반영 교과의 종류나 과목 수에 따라 전형 결과가 달라질 수 있으며, 단순히 내신 평균 등급으로 판단하기보다는 각 대학이 제시하는 환산 방식에 따른 점수를 기준으로 선발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자신에게 유리한 과목 반영 방식이나 평가 체계를 운영하는 대학을 선택하는 것이 전략적으로 중요하다.

 

(4) 수능최저학력기준 변화

  학생부교과전형에서는 수능최저학력기준의 적용 여부에 따라 합격선이 뚜렷하게 달라진다. 이 전형을 준비하는 수험생이라면 내신 성적만큼이나 수능최저 기준 충족 여부가 합격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따라서 각 대학의 수능최저학력기준이 설정되어 있는지, 있다면 어떤 기준인지 꼼꼼히 확인한 후 지원 여부를 신중히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상위권 대학에 도전할 경우, 수능최저를 충족할 수 있다면 합격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전략적 선택이 될 수 있다.

 

(5) 전년도 결과 활용

학생부교과전형에서는 전년도의 결과가 지원에 가장 큰 역할을 한다. 하지만, 모집정원의 변화, 수능최저학력기준의 변화, 고교 학생 수의 변화 등이 입시 결과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전년도 결과를 해석할 때 이러한 환경의 변화를 고려하여야만 한다.

 

(6) 학생부 교과 전형 준비 Tip

학생부 교과성적이 기본이다.

수능최저학력기준을 충족하기 위한 수능 준비도 병행해야 한다.

대학별 환산점수에 따른 지원을 고려해야 한다.

전형방법에 따른 면접, 서류에 대한 준비를 철저히 해야 한다.

전년도 대학별 전형 결과를 참고하여 목표 대학을 설정해야 한다.

 

2) 학생부 종합 전형

(1) 2026 대입 학생부종합전형의 특징

2026 대입 학생부위주 종합전형은 모집인원이 증가하였다. 수도권, 비수도권 모두 모집인원이 증가하였는데 증가 폭은 비수도권이 조금 더 큰 편이다. 전형 신설, 수능최저학력기준의 변화, 전형 세분화 등 대학별 변화 요소를 확인하고 이에 대한 지속적인 준비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

 

(2) 자율전공 도입으로 인한 평가 기준의 변화

기존 학과별 모집의 학생부위주 종합전형의 평가요소가 자율전공에서는 변화되었다. 따라서 대학별 평가요소의 기준과 내용을 확인하고 이에 대한 대비를 진행해야 한다. 지원에 있어서도 학과모집과 병행해야 하므로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

 

(3) 과목 선택의 중요성

2015 개정교육과정의 적용과 함께 과목 선택의 자율성이 커졌다. 따라서, 학생부위주 종합전형에서는 학생의 관심, 흥미, 진로에 따른 과목 선택의 중요성이 더 커졌다. 2021년에 서울대, 2023년에 경희대, 고려대, 성균관대, 연세대, 중앙대가 모집단위별로 이수를 권장하는 과목들을 발표하였다. 1, 2학년 때 과목 선택에도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4) 학생부 종합 전형 준비 Tip

학생부위주 종합전형 준비는 교과 수업부터 시작해야 한다.

교육과정과 진로분야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한 과목 선택이 이루어져야 한다.

교과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교과 내용을 의미 있는 지식으로 만들어야 한다.

교과수업에서 배우고 학습한 내용을 학교 내 활동과 연계, 심화, 확장해 나가야 한다.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해 자신의 진로에 대한 관심사를 적극적으로 탐색해야 한다.

창체활동은 교과와의 연계를 통해 교과기반 심화 탐구역량을 드러내야 한다.

독서활동을 통해 지식을 깊이 있게 탐구해야 한다.

대학에서 제공하는 학생부종합전형 가이드북, 전공 가이드북, 어디가 대입정보 등을 적극 활용한다.

대학의 평가항목과 요소를 확인하고 정성평가와 정량평가를 구분하여 전략을 세워야 한다.

 

3) 논술 전형

(1) 2026 대입 논술전형의 특징

2026 대입 논술전형은 수도권, 비수도권 모두 모집인원이 증가하였다. 수도권 모집인원은 지난해에 이어 증가하였고 증가 폭도 큰 편이다. 의대 모집에서도 지난해 10개교에서 13개교로 대학 및 모집인원이 확대되는 등 의약학 계열에서도 변화가 있다. 고려대의 경우 수능최저학력기준을 일부 완화하였고, 성균관대는 언어형, 수리형으로 나누어 실시한다. 이화여대도 인문계열 수능최저학력기준을 완화하는 등 변화된 내용들을 수시 모집요강을 통해 최종적으로 확인해야 한다.

변화
대학 (개교) 증감(개교) 모집인원() 증감()
2026학년도 44 3 12,559 1,293
2025학년도 41 3 11,266 52
2024학년도 38 2 11,214 198

▲ 2024~2026학년도 논술전형 실시 대학 모집인원 변화

 

 

(2) 논술의 영향력

논술전형에서 논술의 변별력이 가장 높다. 전형요소로 교과성적이 포함되는 대학도 있지만 대부분의 학교에서 전형요소로 논술비율이 높아 논술의 변별력이 가장 크고 교과성적의 영향력은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다.

 

(3) 수능최적학력 기준

논술전형에서 수능최저학력기준은 매우 다양하다. 논술은 수시전형 중 평균 경쟁률이 가장 높은 전형이지만 수능최저학력기준을 적용하는 대학의 경우 수능최저학력기준 충족 여부가 적용된 실질경쟁률은 크게 낮아지는 특징이 있다. 대학에서 발표한 실질경쟁률을 참고할 필요가 있다.

 

(4) 논술 전형 준비 Tip  

대학 제공자료 활용(선행학습영향평가보고서, 논술전형 가이드북, 모의논술, 논술해설 영상)

교과 수업 내용 활용

대학별 모의논술 활용

수능최저학력기준 충족을 위한 수능 준비 철저

 

4) 수능 위주 전형

(1) 전형의 특징

수능전형은 모집시기상 정시에 해당하며, //다군 등의 모집 군별로 나뉘어 진행된다. 수시의 6 지원과는 다르게 수험생은 모집군별로 각각 1회씩, 최대 3회까지 지원할 있다.

② 다수의 대학이 수능 성적만을 전형 요소로 사용하고, 일부 대학은 학생부를 수능 성적과 함께 반영하기도 한다. 학생부의 영향력은 크지 않으며, 당락에 결정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것은 수능 성적이다. 서울대의 경우 학생부 교과평가를 반영하고, 고려대의 경우는 교과성적을 반영한다. 2026학년도부터는 연세대, 한양대, 성균관대(사범대)도 학교생활기록부 평가를 도입한다.

③ 정시는 성적표에 기재된 영역별 표준점수, 백분위, 등급을 그대로 합산하는 방식이 아니다. 해당 요소들을 대학에 따라 반영 영역 , 영역별 반영 비율, 반영표, 영역별 가감점 등을 통해 다양하게 반영하기 때문에 동일한 표준점수, 백분위이더라도 대학별 환산점수가 서로 다르다. 따라서 대입정보포털 어디가(www.adiga.kr) 등에서 제공하는 대학별 환산점수 산출을 통해 자신이 받은 수능성적의 유불리를 확인해야 한다.

④ 교대, 사범대, 의학계열 등 일부 모집단위에서 면접을 실시하기도 하고 군사학과 등에서 신체검사 체력 테스트가 있으므로 모집요강을 확인하여 대비해야 한다.

⑤ 수능위주전형의 모집인원의 경우 서울권이 가장 인원이 많으며 예년과 마찬가지로 가군과 나군이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크다. 경기인천 지역의 경우 다군에서 선발인원의 비중이 크다. 그러나 나/다군의 경우 서울, 경기인천, 비수도권에 모집하는 인원이 비슷한 것으로 보인다. 이론적으로는 가//다군 세 번의 응시 기회가 있지만 선호도가 높은 대학들은 가군과 나군에 집중된 경향이 있다. 따라서 성적별로 선호도에 따른 가//다군의 지원 경향을 살펴보아야 한다.

⑥ 학교폭력 근절 종합대책(2023.04.)에 따라 수능위주전형에서도 학교폭력 조치사항을 반영한다. 대학별로 반영방법이 서로 다르므로 각 대학별 정시 모집요강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2) 2026 대입 수능위주 전형의 특징

2026 대입 수능위주전형의 모집인원은 매우 소폭 증가하였다. 정시에서 선발하는 수능위주전형은 대입 공정성 강화 방안의 영향으로 서울권 대학의 선발 비율이 가장 높으며 모집인원의 경우 수도권은 증가하였으나 비수도권은 감소하였다. 필수 응시영역 폐지도 계속 이어지고 있다. 고려대의 경우 필수 응시영역을 폐지했으나 자연계열 지원시 과탐 변표에 가산점을 부여하고 있다. 서강대의 경우 정시 성적을 두 가지 방식으로 산출한 후 둘 중 더 높은 점수를 선발에 활용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서강대, 이화여대, 한양대, 성균관대 등이 다군에서 선발하는 등의 변화가 있으므로 관련 내용의 변화에 따른 지원 경향의 변화를 고려한 지원이 필요하다.

 

(3) 통합형 수능과 수능선택과목 결정

통합형 수능이 정착되면서 자연계열 모집단위의 지정과목도 점점 사라지고 있는 추세이다. 수능위주전형의 경우 수능점수가 가장 중요하기 때문에 우선 본인이 선호하고 점수를 잘 받을 수 있는 과목을 선택하는 것이 가장 올바른 선택이다. 여기에 더해 탐구 영역의 경우 지정과목에 대한 해제로 사탐 영역에 대한 응시 비율도 적지 않다는 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다만 자연계열 학과들의 경우 가산점을 부여하는 경우도 많으므로 이에 대한 확인은 반드시 필요하다. 국어, 수학 영역의 경우 공통과목과 선택과목으로 구분되는데 공통과목의 배점이 75% 정도이므로 공통과목에서 고득점을 목표로 계획을 세우는 것이 필요하다.

 

대학 2026학년도 2025학년도
인문 자연 예체능 합계 인문 자연 예체능 합계
건국대 371 799 267 1,437 405 794 260 1,459
경희대 645 551 180 1,376 679 350 - 1,346
고려대 858 936 81 1,875 794 829 81 1,704
동국대 627 616 44 1,287 625 585 49 1,259
서강대 445 267 - 712 371 245 - 616
서울대 583 769 171 1,523 453 685 171 1,309
서울시립대 348 375 116 839 323 376 116 815
성균관대 759 790 118 1,667 678 772 112 1,562
숙명여대 623 266 201 1,000 521 340 201 1,062
연세대 836 681 176 1,693 657 674 174 1,505
이화여대 499 457 390 1,346 340 432 336 1,108
중앙대 752 772 59 1,583 758 771 59 1,588
한국외대 755 36 - 791 755 - - 791
한양대 417 855 151 1,423 431 841 142 1,414
홍익대 272 556 94 922 272 556 94 922
8,790 8,726 2,048 19,474 8,062 8,250 1,795 18,460

서울 주요 대학 정시모집 인원

 

(4) 정시 수능 위주 전형 준비 Tip  

가장 중요한 전형 요소는 수능 성적이다.

학교 수업에 성실하게 참여해야 한다.

공통과목의 원점수를 높게 받아야 한다.

1, 2학년 시기부터 차분히 수능 준비를 해야 한다.

 

7. 대학수학능력시험 문항 및 출제 범위

구분
영역
문항수 문항유형 배점 시험 시간 출제범위(선택과목)
문항 전체
국어 45 5지선다형 2, 3 100 80 - 공통과목 : 독서, 문학
- 선택과목 택 1 : 화법과 작문, 언어와 매체
- 공통과목: 34문항, 선택과목: 11문항
- 표준점수, 백분위, 등급 모두 기재
수학 30 5지선다형, 단답형 2, 3, 4 100 100 - 공통과목:수학, 수학
- 선택과목(1 :확률과 통계, 미적분, 기하
- 공통과목: 22문항, 선택과목: 8문항
- 문과/이과 구분 폐지
- 표준점수, 백분위, 등급 모두 기재
영어 45 5지선다형
(듣기 17문항)
2, 3 100 70 - 등급만 기재(절대평가)
한국사 20 5지선다형 2, 3 50 30 - 모든 수험생 필수 응시
- 등급만 기재(절대평가)
탐구 사회
탐구
과목당 20 5지선다형 2, 3 과목당
50
과목당 30 - 문과/이과 구분 폐지
- 생활과 윤리, 윤리와 사상, 한국 지리, 세계 지리,
동아시아사, 세계사, 경제, 정치와 법, 사회문화,
물리학, 화학, 생명과학, 지구과학,
물리학, 화학, 생명과학, 지구과학
17개 과목 중 최대 택 2
- 표준점수, 백분위, 등급 모두 기재
과학
탐구
과목당 20 5지선다형 2, 3 과목당
50
과목당 30
2외국어/
한문
과목당 30 5지선다형 1, 2 과목당
50
과목당
40
- 독일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중국어, 일본어, 러시아어, 아랍어, 베트남어, 한문9개 과목 중 택 1
- 등급만 기재(절대평가)

 

반응형
LIST

'학급 담임 > 입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6학년도 대입 핵심 키워드  (1) 2025.04.04
2026학년도 대입 전형 일정  (1) 2025.03.28

댓글